세알못 - 6년 전에 10여 년 동안 운영해오던 사업장의 문을 닫았습니다. 부동산을 담보로 무리하게 사업 확장을 시도한 것이 화근이었습니다. 예기치 못한 악재들이 겹치면서 결국 사업은 폐업했습니다. 그 여파로 모든 재산을 처분해도 빚은 남아 있었고, 결국 신용불량자가 됐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고, 닥치는 대로 일을 해 부채를 모두 상환하고, 본인 명의로 작은 집도 한 채 장만했습니다. 하지만 또 시련이 닥쳤습니다. 세무서에서 압류통지서가 날아왔습니다. 6년 전 사업을 접을 당시 국세를 체납했다는 것입니다.
택스코디 – 먼저 체납한 세금의 '국세징수권 소멸시효'가 완성됐는지부터 확인해 봐야 합니다. 소멸시효가 완료됐다면 국세를 징수할 수 있는 권한이 소멸돼 해당 압류 통지는 무효가 되기 때문입니다. '소멸시효'는 권리자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음에도 일정 기간 내 이를 행사하지 않음에 따라 그 권리를 소멸시키는 제도를 일컫습니다. 여기서 권리자는 세금징수자인 정부를 의미합니다. 현행 세법에선 5억 원 미만 국세는 5년, 5억 원을 넘어가는 국세에 대해선 10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세징수권 소멸시효'와 '국세 부과제척기간'을 혼동해선 안 됩니다. 전자는 국세청 부과 등으로 확정된 국세를 징수할 수 있는 기간으로, 조건이 충족되면 중단 및 정지가 가능합니다.
후자는 국세청이 납세자에게 국세를 부과할 수 있는 기간으로, 경과 시 역시 국세를 부과할 수 없게 되는데 상속·증여세와 그 이외 국세로 기간이 나뉩니다. 상속·증여세는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 무신고, 거짓신고, 누락신고(15년), 그 밖의 경우(10년)로 다시 구분합니다. 상속·증여세 이외 국세는 무신고(7년),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10년), 그 밖의 경우(5년)로 분류합니다. 제척기간의 중단이나 정지가 없다는 점도 차이입니다.
그렇다면 해당 소멸시효는 어떻게 따질까요. 일단 납세자의 신고로 납세의무가 확정되는 국세의 경우 신고세액에 대해선 법정 신고납부기한 다음날부터 소멸시효를 계산합니다. 반면 자진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과세관청에서 세액을 경정 또는 결정하는 경우 납부•고지한 세액에 대해서는 고지에 따른 납부기한 다음날부터 소멸시효를 기산합니다.
하지만 국세청이 소멸시효가 넘어가는 걸 그저 지켜만 보진 않습니다. 납부고지, 독촉, 교부 청구(체납자 재산에 이미 강제징수 등과 같은 법적 절차가 이뤄지고 있는 경우 배당을 청구하는 조치), 압류 등을 실시합니다. 그리고 이때까지 경과한 진행 기간을 초기화해 소멸시효를 다시금 기산합니다. 바로 소멸시효 '중단'입니다.
가령 2015년 귀속 종합소득세 2억 원 신고 후 체납했다면 종합소득세 법정 신고납부기한 다음날인 2016년 6월 1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2021년 5월 31일이 지나면 해당 체납 세금에 대한 소멸시효가 완성됩니다.
하지만 국세청에서 2018년 1월 1일 자로 그달 31일을 납부기한으로 삼아 고지를 했다면 소멸시효가 멈추게 됩니다. 이에 따라 2018년 2월 1일부터 재차 5년을 기산하게 되기 때문에 2023년 1월 31일이 돼야 소멸시효가 완료됩니다. 또 소멸시효 진행 기간 중 분납 기간, 납부고지의 유예, 납부기한 연장, 징수 유예기간, 압류 또는 매각 유예기간, 연부연납기간, 사해행위 취소소송이나 채권자 대위 소송 진행기간, 체납자가 국외에 6개월 이상 체류하는 경우 등에는 소멸시효가 '정지'됩니다.
금융소득 비교과세, 금융소득만 4천만 원일때 세금은 얼마? (1) | 2023.10.04 |
---|---|
소득세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떤 방식으로 세금이 매겨지나요? (0) | 2023.09.16 |
세무사는 많고, 회계사무실은 널려 있다. (0) | 2023.08.19 |
세무사 첫만남, 무엇부터 질문해야 하나? (0) | 2023.08.18 |
좋은 세무사란? 세무사님의 전문 분야는 어느 쪽입니까?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