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업을 하려면 '물리적 장소'가 필요하다?

사장님 세금

by 택스코디 2024. 6. 2. 00:04

본문

사업을 하려면, 대개 세무서(홈택스도 가능)를 찾아가 사업자등록 절차를 거칩니다. 이때 사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부분은 사업장의 여부입니다. 세무서에서는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장소가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제빵 사업을 벌이기로 하고 이 사업을 집에서 한다고 하면, 선뜻 이해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제조 장비가 없다면 사업자등록 거는 당연한 일입니다.
 

절세가 보이는 5가지 숫자

 
가게가 있는 곳, 사무실 소재지, 공장 등 사업을 하는 고정된 장소가 필요한지에 의문부호도 붙습니다.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던 상거래의 많은 부분이 온라인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어서입니다. 이에 인터넷을 활용하는 e비즈니스 업종의 사업자등록 과정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가상 사무실 (비상주 사무실)'를 사업장으로 허용해야 한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음식점, 편의점, 제조업, 도소매업, 무역업, 유튜버까지. 사업자등록은 사업의 초기에 꼭 거쳐야 하는 절차입니다. 사업을 개시한 지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마쳐야 하며, 이런 의무를 어기다가 적발됐을 땐 미등록가산세에 더해 공제(매입세액) 혜택도 받을 수 없습니다.
사업자등록을 하려면 원칙적으로 별도의 공간인 사업장이 존재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할 때도 사업자 주소와 임대차계약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6조)을 보면 사업자의 부가가치세 납세지는 각 사업장의 소재지로, 사업장은 사업을 하기 위해 거래의 전부(또는 일부)를 하는 고정된 장소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세금을 알면 돈이 보인다: 사업자편

 
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고정된 사업장이 없는 경우엔 사업자의 주소(또는 거소)를 사업장으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사는 집도 사업장 주소지로 등록이 가능하단 소리입니다. 대표적으로 전자상거래·통신판매업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 유튜브 사업, SNS나 블로그 마켓 등 온라인 통신망을 이용한 사업자라면 집 주소로도 사업자등록을 낼 수 있도록 허용해줍니다. 산업의 지형도가 바뀐 영향인지, 최근엔 디지털 경제환경에 맞는 사업장 개념 정비가 필요하단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