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알못 - 주위에서 회계를 배우라고 하는데, 어느 정도까지 공부해야 하나요?
택스코디 - 재무, 경리 담당이 아니라 일반 직장인, CEO라면 기본적인 회계 지식만 익혀도 충분합니다. 여기서 기본적인 회계 지식이란 현금출납장,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읽을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들 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직접 현금출납장,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몇 번 작성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모든 항목을 구체적으로 다 적어볼 필요는 없습니다. 위 책에서 나오는 정도만큼만 할 줄 알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나.
• 조달한 자금을 어디에 사용하고 있나.
• 돈을 얼마나 벌었나.
• 그 돈을 벌기 위해 얼마나 썼나.
•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은 얼만가.
• 영업 외로 나가는 비용과 수익은 얼만가.
재무제표를 통해서 매달 벌고 쓰는 돈을 파악하면서 자연스럽게 경영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됩니다. 현금이 부족하면 주위에 빌려준 돈을 갚으라고 재촉한다든지, 이자 비용이 많이 나가면 자금을 조달할 다른 방법을 모색한다든지 하는 방안을 생각하게 되는 거죠.
꼭 직장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개인을 위한 재무제표도 써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월급, 부채, 부동산 등을 재무제표에 넣고 계산을 해보는 거죠. 그러면 자신이 매달 얼마를 벌고 얼마나 쓰며, 부채는 얼마이고 등 일련의 돈의 흐름이 눈앞에 보입니다.
자신의 현금이 들고 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이익과 손실을 따져서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것, 그것을 바로 '회계의 개인화'라고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회계는 회사 운영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개인의 재무설계를 위해서도 꼭 필요합니다.
현금흐름표, 기업이 만드는 현금출납장 (0) | 2023.09.15 |
---|---|
손익계산서, 올바른 이익을 계산하는 표 (0) | 2023.09.10 |
배당과 이익잉여금의 차이는? (1) | 2023.09.07 |
모든 기업의 공통된 활동: 돈을 모은다 → 투자한다 → 이익을 발생시킨다 (0) | 2023.09.06 |
할인율이 10%라고 할 때 1년 후의 1억 원은 현재가치로 얼마일까? (0) | 2023.09.05 |